본문 바로가기

연말정산3

[연말정산] 세액공제 - 간단 정리 안녕하세요. [연말정산] 마지막 단계인 세액공제예요. 세금을 결정하는 단계예요. 빨강, 파랑 글씨만 봐도 어느정도 감이 오실거예요. 일단 세액감면, 세액공제 및 세부분류는 나누는 것에는 크게 중요하지않습니다. 해당 대상이 된다면 신청~!!! 1. 세액감면 - 대상자 : 청년은 2012년, 60세 이상인 사람은 2014년, 경력단절여성은 2017년 이후 취업자. - 연령조건은 취업당시 나이를 기준 - 2018년 세법개정에 따른 변경사항 청년범위(15~29세 -> 15~34세), 감면기간(3년 -> 5년), 감면율 90%로 확대 2. 세액공제 : 기본공제이다. 앞에서 계산한 산출세액 기준(과세표준으로부터 세율을 곱해서 나온 세액) 산출세액 130만원 이하는 산출세액의 55% 산출세액 130만원 초과는 산출세.. 2020. 7. 21.
[연말정산] 소득공제 - 간단 정리 안녕하세요. [연말정산] 세금을 직접적인 듯, 간접적이게 줄여주는 소득공제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빨강, 파랑 글씨만 봐도 어느정도 감이 오실거예요. 1. 근로소득공제 - 기본공제 총급여액(연간근로소득에서 비과세소득을 뺀 금액) 기준으로 표에 따라 결정됩니다. 2. 인적공제 - 기본공제 말그대로 사람을 대상으로 공제, 1명당 150만원 소득공제. 크게 기본공제와 추가공제로 나뉘고, 조건이 있습니다. 조건은 동거, 나이, 소득이 포인트입니다. - 동거는 같이 사느냐, 등본상에 기재되어 있느냐. - 나이는 20세이하, 60세이상 - 연간근로소득 100만원 이하인 사람이 대상. 연간근로소득 100만원이하란? - (종합소득금액+퇴직소득금액+양도소득금액) 100만원 이하 - 비과세, 분리과세 소득은 제외하.. 2020. 7. 20.
[연말정산] 10분투자 개념 이해 - 간단 정리 10분 투자해서 한번만 잘 읽어보시면 연말정산 개념이 완전하게 이해되실거예요. 1. 연말정산?1년 동안 납부했던 소득세를 정확하게 재계산해서 환급 또는 추가납부하는 것. 재계산할 때 각종 공제를 반영하여 환급 또는 추가 납부. 매월 받는 월급에서 미리 뗀 세금이 각자 사정에 맞게 납부된 것인지 확인해서 세금을 많이 냈으면 환급 받고, 적게 냈으면 추가로 세금을 납부하는 것. 2. 소득세? 원천징수?자 그럼 소득세는 무엇일까요? 원천징수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죠?! 서로 관련이 있답니다.원천징수는 세금을 납부하는 방법 중 하나예요. 회사가 근로자의 소득(월급)에서 세금을 국가 대신 징수해서, 국가에 납부하는 조세 징수 방법.급여명세서에 '소득세'라는 항목이 바로 소득에 대한 세금을 미리 징수하는 원천징수한 .. 2020. 7. 15.